사회

대통령 탄핵 인용 이후 대선 절차 (+대선 일정 시나리오, 유력 대선 후보군)

프리다이어비티즈 2025. 4. 4. 12:20

 목차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인용함에 따라, 대한민국은 즉시 60일 이내의 조기 대선 체제에 돌입하게 됩니다.

📌 이는 단지 정권의 교체를 넘어, 대한민국 정치 지형 전반을 뒤흔드는 중대한 분기점이 됩니다.

📌 탄핵 심판의 시점에 따라 대선 일정은 빠르면 7월 중순, 늦으면 8월 중순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여야 모두 사실상 비상체제로 대선 준비에 들어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탄핵 인용 시 예상되는 대선 일정 시나리오, 정당별 유력 후보군까지 짚어보겠습니다.

 공지

본 포스팅의 무단도용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1. 탄핵 인용 시점 기준 60일 이내 대선 실시 ✅

📌 헌법 제68조 제2항에 따르면,

  • “대통령이 궐위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 대통령을 선거하여야 한다.”

📌 즉, 헌법재판소가 탄핵 인용을 결정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반드시 대선이 치러져야 합니다.

 

2. 탄핵 인용 이후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 ✅

✔ 대통령이 파면되면 즉시 권한 상실 →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을 대행하게 됩니다.

 ✔ 현재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수행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 총리가 사퇴하거나 해임되면, 권한대행 승계 순위에 따라 다른 장관이 대행할 수 있습니다.

 

3. 선관위 주관으로 신속한 대선 일정 수립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탄핵 인용 직후 대통령 선거일을 공고하게 됩니다.

 ✔ 공식 선거운동 기간은 22일간, 후보자 등록은 선거일 24~23일 전에 진행됩니다.

 

 

4. 과거 사례 비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시의 일정 ✔

항목 내용
탄핵 인용일 2017년 3월 10일
대선일 2017년 5월 9일
소요기간 60일 중 60일째에 치름
당선자 문재인 대통령

→ 대선 일정은 최대한 60일에 가깝게 설정되어 충분한 후보 준비 및 유권자 숙고 기간 확보가 일반적입니다.

 

5. 탄핵 인용 시점 기준 대선 일정 시나리오

헌법에 따라 대통령 탄핵 인용 시점으로부터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합니다.

구분 날짜 설명
탄핵 인용일 2025년 4월 4일 (금) 헌법재판소 탄핵 인용 결정
대선 실시 마감일 2025년 6월 3일 (화) 헌법 제68조 2항에 따라 60일 이내 실시
예상 대선일 2025년 6월 3일 (화) 평일 중 가장 유력한 후보일
후보 등록일 2025년 5월 10일 (토) ~ 11일 (일) 선거일 24~23일 전
공식 선거운동 2025년 5월 12일 (월) ~ 6월 2일 (월) 총 22일간의 공식 선거운동 기간
신임 대통령 임기 개시 2025년 6월 중순 예상 당선 후 5일 이내 중앙선관위 당선 공고, 이후 곧바로 임기 시작

💡 중앙선관위는 일반적으로 탄핵 인용 후 약 55~60일 후에 선거일을 지정해 왔습니다 (예: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 60일 후로 지정).

 

6. 유력 대선 후보군 정리 (2025년 기준)

🔵 야권 (민주당 중심)

  주요 이력 강점 비고
이재명 현 민주당 대표 강력한 지지층, 전국적 인지도 사법 리스크 여전
김동연 경기지사, 전 부총리 중도 확장성, 안정적 이미지 비주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강성 지지층, 정치적 반사이익 대중성 논란

🔴 여권 (국민의힘 및 보수 진영)

인물 주요 이력 강점 비고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 젊은 이미지, 강한 팬덤 정치 경험 부족
오세훈 서울시장 행정경험, 중도 이미지 전통적 보수 기반
유승민 전 의원 합리적 보수, 중도 소구력 당 내 기반 약함
원희룡 국토부 장관 정통 TK 보수 인지도 한계

🟡 제3지대·무소속 가능성

인물 주요 이력 가능성
안철수 의원, 전 대표 출마 가능성 있음
김부겸 전 총리 야권 단일화 변수
윤석열 (만약 불출마 후 복귀설) 탄핵 후 정치 재도전설도 일부 존재 현실 가능성 낮음

📌  대통령 탄핵이 헌재에서 인용되면, 즉시 대통령직은 상실되며, 60일 이내에 후임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대선이 헌법적 의무로 진행됩니다.

📌 이 기간 동안 국정은 총리 중심의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되며, 정치적 혼란과 급박한 대선 준비 상황이 전개될 수 있습니다.

📌 탄핵이 인용되면 7~8월 내 조기대선 가능성이 높으며, 여야 모두 빠르게 후보 선출 경선 레이스에 돌입하게 됩니다.
현재로서는 이재명 vs 한동훈 또는 김동연·오세훈·유승민 등 중도 후보들 간 경쟁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으며, 정계 개편과 후보 단일화 논의가 핵심 변수가 될 것입니다.